'pcm'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09.09.26 PCM의 종류
  2. 2009.09.26 PCM(펄스 코드 변조)이란 무엇인가?
2009. 9. 26. 20:51

변조 방식에는 연속파 변조(Continuous Wave Modulation)불연속파 변조(Pulse Code Modulation)
있다
.

[연속파 변조]
연속파 아날로그 변조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DSB-SC : 피변조파에 반송파가 포함되지 않는 방식
2)
DSB-LC : 피변조파가 반송파에 포함되는 방식. AM 라디오.
3)
SSB : DSB-SC BPF를 사용하여 한쪽의 측대파를 제거한 방식. 휴대용 무전기.
4)
VSB : SSB와 같이 한쪽의 측대파를 완전히 없애는 것이 아니라 측대파의 일부를 남겨놓음.
            TV
와 같이 낮은 주파수에 몰려있는 영상신호를 변조하는데 사용함.
            - FM
            - PM

연속파 디지탈 변조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ASK  : Amplitude Shift Keying.
             
연속적인 반송파의 진폭에 싣는 변조방식
2)
FSK  : Frequency Shift Keying.
             
연속적인 반송파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방식
3)
PSK  : Phase Shift Keying.
             
반송파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방식
4)
QAM :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변화시키는 방식

[불연속파 변조]
이번 category에서 알아보려는 항목은 불연속파 변조, 즉 펄스파 변조(PCM)이며 펄스파 변조의 종류와
대략적인 방법을 알아본다
.

1) DM
Delta Modulation
으로 현재의 표본값에서 이전 표본값을 뺀 차동신호가 + 이면 1, - 이면 0으로 부호화하는
방식이다
.
즉 기울기가 + 이면 1, - 이면 0 으로 부호화 한다는것이다. 하지만 입력신호의 기울기가 DM 계단
기울기보다 큰 경우 경사과부하잡음이 발생한다
.

2) DPCM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으로 차동펄스부호변조 방식이다.
입력신호의 표본값 자체를 양자화 하는것이 아니라 이전 표본값과 현재 표본값의 차이만 부호화하여
정보량을 감소시키는 방법
.
음성이나 영상과 같은 신호는 큰 상관성을 갖기 때문에 한 표본점에서 다음 표본점으로 옮길 때 신호값이
천천히 변하는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

3) ADM
Adaptive Delta Modulation
으로 DM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Jayant
적응화 법칙을 적용하여
bn=bn-1(1111...또는 0000...)이면 경사과부하 잡음이, bnbn-1(101010....)
이면 양자화잡음이 발생한 상태로 판단하여 DM처럼 1씩 증/감하는 것이 아니라 k(스텝크기를 결정하는
계수
,
1 < k < 2)의 크기씩 증/감하는 방식이다.

4) ADPCM
DPCM
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적응형 양자화방식을 이용한 것이다.

신호의 통계적 특성을 구한후 적응예측방식과 적응양자화방식을 적용한것이 특징이며 전송속도가
기존
PCM 1/2 밖에 되지 않고 음질도 양호하다.
초기 PCS 통신에서 샤용했던 변조방식이다.

Posted by nooriry
2009. 9. 26. 16:39

펄스 코드 변조, Pulse Code Modulation이란 무엇인가?

PCM
PAM된 아날로그 신호를 표본화, 양자화, 부호화 과정을 거쳐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
PAM : 펄스 진폭 변조, Pulse Amplitude Modulation, 신호파의 진폭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변조 방식


아날로그 신호를 PCM 방식으로 디지털 변환하여 전송, 복호하는 과정을 살펴보자.


1. 먼저 아날로그 신호파를 이산적인 펄스파로 만드는데 이 때 아날로그신호 최고 주파수의 2
   이상이 되는 주파수로 표본화 한다
.
   Nyquist의 표본화 주파수(fs)라고 하는데 fs = 2fm 이다. 만일 fs < 2fm 이면 파형이 서로 겹치게되어
  
aliasing이 발생한다. (샤논의 표본화정리)
2.
신호파의 크기에 따라 펄스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PAM후 양자화,
부호화를 거쳐 디지탈 신호로
   전송한다
.
3.
양자화는 진폭을 이산적인 신호로 변화하는 과정이며
M= 2n 이다.
   (M:양자화 계단, n:양자화시 사용되는 비트 수)

이 그림은 3bit로 양자화 하여 양자화 계단(M) 8임을 보여준다.
, 점선이 8단계이다.

4.
부호화에서 양자화된 신호를 1 0으로 변환한다
.
5.
전송선로를 거쳐서 복호기는 수신된 펄스파를 PAM파로 복원한다
.
6.
맨 뒷단의 LPF를 통하여 적분을 수행하고 이에 PAM파에서부터
원 신호를 뽑아내게 된다.

PCM PM(Pulse Modulation)의 일종으로 각종 누화, 잡음에 강하여 저질의 전송로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고급 여파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 하지만 점유 주파수 대역폭이 넓다는 단점이 있다
.
 
PCM의 전송량을 줄여 전송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DM, DPCM, ADM, ADPCM 방식이 있다.

'[정보통신] > 통신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선교환, 메시지교환, 패킷교환  (0) 2009.09.26
PSK와 QAM에 대한 설명  (0) 2009.09.26
ASK와 FSK의 특징에 대한 설명  (0) 2009.09.26
PCM의 종류  (0) 2009.09.26
Posted by noori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