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10. 10. 14:40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구조의 목적은 상이한 시스템의 원활한 상호연결을 위한 표준을
개발하기 위한 공통적인 기법을 제시하여, 현존하는 여러 프로토콜들이 OSI 구조 내에서 운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컴퓨터 네트워크의 논리구조를 규정하는 것으로 모뎀화 구성요소는 개방형 시스템, 물리매체,
응용프로세서이며 7계층 구조를 가진다.
각 계층에 대한 기능은 다음과 같다.
[Application Layer]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갖는 계층이다. http, FTP 등.
사용자가 'DATA'를 보내면 PCI라는 곳에다 사용된/될 응용프로그램의 종류를 표시한다.
아래에서 주황색 부분이 PCI부분이다.
[Presentation Layer]
Application의 다양한 표현형식을 공통의 표현형식으로 변환한다.
압축, 암호화, 코드 변환등을 수행한다.
압축으로 사용된 방식등의 PCI를 덧붙인다.
[Session Layer]
동기제공, 전송방식(전이중,반이중 등) 결정한다.
Presentation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에 동기 bit들을 삽입하고 어디 어디에 삽입하였는지 표시한다.
[Transport Layer]
Session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하며 이 때 분할된 크기의 단위를 세그먼트라고
한다.
세그먼트에 번호를 붙여서 순서를 정한다.
TCP, UDP 등이 이 계층에 속한다.
[Network Layer]
세그먼트 단위로 받아서 최종 받는곳의 주소를 덧붙인다.
이를 경로 설정이라 하며 주소가 붙은 단위를 packet이라 한다.
[Data Link Layer]
바로 다음단인 인접장치의 주소(MAC)을 붙인다. 일반적으로 랜카드(NIC)에 해당하는 계층이며 MAC을 붙인 이 계층에서의 단위를 frame이라고 한다.
맨 앞에 인접장치까지의 주소가, 맨 뒤엔 에러제어코드등이 붙는다.
개발하기 위한 공통적인 기법을 제시하여, 현존하는 여러 프로토콜들이 OSI 구조 내에서 운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컴퓨터 네트워크의 논리구조를 규정하는 것으로 모뎀화 구성요소는 개방형 시스템, 물리매체,
응용프로세서이며 7계층 구조를 가진다.
1~3계층까지를 하위계층이라 하고 4~7계층까지는 상위계층이라고 한다.
각 계층에 대한 기능은 다음과 같다.
[Application Layer]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갖는 계층이다. http, FTP 등.
사용자가 'DATA'를 보내면 PCI라는 곳에다 사용된/될 응용프로그램의 종류를 표시한다.
아래에서 주황색 부분이 PCI부분이다.
[Presentation Layer]
Application의 다양한 표현형식을 공통의 표현형식으로 변환한다.
압축, 암호화, 코드 변환등을 수행한다.
압축으로 사용된 방식등의 PCI를 덧붙인다.
[Session Layer]
동기제공, 전송방식(전이중,반이중 등) 결정한다.
Presentation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에 동기 bit들을 삽입하고 어디 어디에 삽입하였는지 표시한다.
DATA중간 중간의 세로줄이 동기bit들을 나타내며 맨 앞의 연두색으로 표시된 PCI에 동기bit들의 위치 데이터가 들어간다.
[Transport Layer]
Session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하며 이 때 분할된 크기의 단위를 세그먼트라고
한다.
세그먼트에 번호를 붙여서 순서를 정한다.
TCP, UDP 등이 이 계층에 속한다.
[Network Layer]
세그먼트 단위로 받아서 최종 받는곳의 주소를 덧붙인다.
이를 경로 설정이라 하며 주소가 붙은 단위를 packet이라 한다.
[Data Link Layer]
바로 다음단인 인접장치의 주소(MAC)을 붙인다. 일반적으로 랜카드(NIC)에 해당하는 계층이며 MAC을 붙인 이 계층에서의 단위를 frame이라고 한다.
맨 앞에 인접장치까지의 주소가, 맨 뒤엔 에러제어코드등이 붙는다.
[Physical Layer]
데이터의 최소단위인 bit를 전송매체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디지털 신호이므로 기저대역 전송이며 대역폭을 줄이기 위하여 모뎀을 통한 반송대역 전송을 하게된다.
'[정보통신] > 통신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선교환, 메시지교환, 패킷교환 (0) | 2009.09.26 |
---|---|
PSK와 QAM에 대한 설명 (0) | 2009.09.26 |
ASK와 FSK의 특징에 대한 설명 (0) | 2009.09.26 |
PCM의 종류 (0) | 2009.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