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87건
- 2012.02.27 Apple TV의 분해 - 1st GENERATION
- 2012.02.27 Apple TV의 분해 - 2nd GENERATION
- 2012.02.24 Google TV의 분해 - LOGITECH
2012. 2. 27. 16:07
Apple에서 2007년에 발표한 Apple TV 1st Generation 모델이다.
[Apple TV 1st의 구성]
[Apple TV 1st의 내부]
Apple TV 가격대별로 각기 다른 용량의 PATA방식 HDD를 채용했다.
위의 사진에선 FUJITSU의 40GByte용량인 MHW2040AT가 사용 되었다.
아래 사진에서 부연 설명을 이어 가겠다.
[Apple TV 1st의 Wi-Fi]
CAN 안에 IEEE 802.11n의 radio부분을 담당하는 BCM2055가 들어있다.
안테나를 2개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2x2 MIMO를 지원하고 있음이 추측된다.
CAN 바깥 부분엔 PCI Express interface와 MAC을 담당하는 BCM4321KFBG가 위치하고 있다.
[Apple TV 1st의 메인보드]
NORTH BRIDGE : Intel QG82945GUXLSL9T5
DRAM : Nanya DDR2 SDRAM 512Mbit NT5TU32M16BG-3C 4개 또는 Micron MT47H32M16BN-37E 4개
SOUTH BRIDGE : Intel PC82801GUXSL9U9
GPU : Nvidia GF-G07300-N-A3
GDRAM : Samsung GDDR3 256Mbit K4J55323QG-BC14 2개 또는 Qimonda HYB18H256321AFL14 2개
FLASH : SST 16Mbit SST25VF016B-50-4C-S2AT
ETHERNET PHY : Realtek RTL8100C
[참고]
http://www.ifixit.com
http://www.techrestore.com
[Apple TV 1st의 구성]
[Apple TV 1st의 내부]
Apple TV 가격대별로 각기 다른 용량의 PATA방식 HDD를 채용했다.
위의 사진에선 FUJITSU의 40GByte용량인 MHW2040AT가 사용 되었다.
아래 사진에서 부연 설명을 이어 가겠다.
[Apple TV 1st의 Wi-Fi]
CAN 안에 IEEE 802.11n의 radio부분을 담당하는 BCM2055가 들어있다.
안테나를 2개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2x2 MIMO를 지원하고 있음이 추측된다.
CAN 바깥 부분엔 PCI Express interface와 MAC을 담당하는 BCM4321KFBG가 위치하고 있다.
[Apple TV 1st의 메인보드]
NORTH BRIDGE : Intel QG82945GUXLSL9T5
DRAM : Nanya DDR2 SDRAM 512Mbit NT5TU32M16BG-3C 4개 또는 Micron MT47H32M16BN-37E 4개
SOUTH BRIDGE : Intel PC82801GUXSL9U9
GPU : Nvidia GF-G07300-N-A3
GDRAM : Samsung GDDR3 256Mbit K4J55323QG-BC14 2개 또는 Qimonda HYB18H256321AFL14 2개
FLASH : SST 16Mbit SST25VF016B-50-4C-S2AT
ETHERNET PHY : Realtek RTL8100C
[참고]
http://www.ifixit.com
http://www.techrestore.com
'[HARDWARE]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le TV H/W의 분석 - 2nd GENERATION (0) | 2012.03.14 |
---|---|
Apple TV의 분해 - 2nd GENERATION (0) | 2012.02.27 |
Google TV의 분해 - LOGITECH (0) | 2012.02.24 |
Google TV의 분해 - SONY (0) | 2012.02.24 |
2012. 2. 27. 12:20
Apple에서 2010년에 발표한 Apple TV 2nd Generaion인 A1378 모델이다.
2007년에 발표한 Apple TV 1st Generation의 실패를 거울삼아 디자인은 한층 apple다워졌으며 사용된
부품들은 SoC로 대거 탈바꿈 되었다.
ifixit.com에서 IT기기들의 tear down을 워낙 잘하고 있어서 해당 사이트의 이미지를 가져와서 설명한다.
[Apple TV 2nd의 구성]
[Apple TV 2nd의 내부]
사용했는지 의문이라고 되어있다.
내 생각은 약간 다른데 apple의 목적은 내부의 열을 밖으로 발산시키기 위해 thermal pad를 사용한
것이 아니었다.
아마도 열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부위에 그 보다 큰 면적의 thermal pad를 붙임으로써 온도감을
분산코자 하는 의도를 가진게 아니였을까 생각된다.
즉, 열을 분출 시키는 목적 보다는 사용자가 뜨겁다고 느끼지 못하도록 하는 의도가 아니었나 싶다.
[Apple TV 2nd의 후면]
[Apple TV 2nd의 메인보드]
오른쪽 위가 Wi-Fi/Bluetooth/FM module
오른쪽 중간이 NAND Flash
NAND FLASH : Samsung 8GByte K9LCG08U1M-LCB0
ETHERNET PHY : SMSC 8710A-EZK
Wi-Fi/Bluetooth/FM module : Panasonic with Broadcom BCM4329XKUBG
[Apple TV 2nd의 CPU]
Reference number의 또 한가지 특이점은 C2042, U4100처럼 네 자리란 것이다.
회로도 페이지가 몇 십페이지 넘게까지 있는것인지 품목별 번호를 할당하는 방법이 있는 것인지
아니면 삼성에서 A4 CPU를 제공하면서 넘긴 reference 회로도에서 그대로 사용한 것인지...
궁금해진다.
[Apple TV 2nd의 분해]
[참고]
http://www.ifixit.com
2007년에 발표한 Apple TV 1st Generation의 실패를 거울삼아 디자인은 한층 apple다워졌으며 사용된
부품들은 SoC로 대거 탈바꿈 되었다.
ifixit.com에서 IT기기들의 tear down을 워낙 잘하고 있어서 해당 사이트의 이미지를 가져와서 설명한다.
[Apple TV 2nd의 구성]
[Apple TV 2nd의 내부]
사용했는지 의문이라고 되어있다.
내 생각은 약간 다른데 apple의 목적은 내부의 열을 밖으로 발산시키기 위해 thermal pad를 사용한
것이 아니었다.
아마도 열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부위에 그 보다 큰 면적의 thermal pad를 붙임으로써 온도감을
분산코자 하는 의도를 가진게 아니였을까 생각된다.
즉, 열을 분출 시키는 목적 보다는 사용자가 뜨겁다고 느끼지 못하도록 하는 의도가 아니었나 싶다.
[Apple TV 2nd의 후면]
[Apple TV 2nd의 메인보드]
오른쪽 위가 Wi-Fi/Bluetooth/FM module
오른쪽 중간이 NAND Flash
NAND FLASH : Samsung 8GByte K9LCG08U1M-LCB0
ETHERNET PHY : SMSC 8710A-EZK
Wi-Fi/Bluetooth/FM module : Panasonic with Broadcom BCM4329XKUBG
[Apple TV 2nd의 CPU]
Reference number의 또 한가지 특이점은 C2042, U4100처럼 네 자리란 것이다.
회로도 페이지가 몇 십페이지 넘게까지 있는것인지 품목별 번호를 할당하는 방법이 있는 것인지
아니면 삼성에서 A4 CPU를 제공하면서 넘긴 reference 회로도에서 그대로 사용한 것인지...
궁금해진다.
[Apple TV 2nd의 분해]
[참고]
http://www.ifixit.com
'[HARDWARE]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le TV H/W의 분석 - 2nd GENERATION (0) | 2012.03.14 |
---|---|
Apple TV의 분해 - 1st GENERATION (0) | 2012.02.27 |
Google TV의 분해 - LOGITECH (0) | 2012.02.24 |
Google TV의 분해 - SONY (0) | 2012.02.24 |
2012. 2. 24. 12:54
2010년에 Logitech에서 발표한 Google TV인 revue의 분해 모습이라고 한다.
Logitech에서 Gigabyte의 main board를 공급받아서 구성한 것으로 보인다.
개인적으로 revue의 큰 성장을 염두해 두고 관련 domain까지 구매했었으나 현재 시점에서 보면 판단
착오였다.
[revue와 후면의 이미지]
[revue의 QWERTY KEYBOARD]
[revue의 내부]
DRAM : Nanya DDR3 SDRAM 1Gbit NT5CB128M8CN-CG 8개
NAND (SLC) : Samsung 1GByte K9F8G08U0M
NAND (MLC) : Hynix 4GByte H27UBG8T2ATR
ETHERNET PHY : Realtek RTL8201N
HDMI PHY : Silicon Image Sil9135
MICOM : Microchip PIC24FJ64GA004-I/PT
[revue의 분해]
[참고]
http://www.ifixit.com
http://gtvhacker.com
http://www.tomshardware.com/
Logitech에서 Gigabyte의 main board를 공급받아서 구성한 것으로 보인다.
개인적으로 revue의 큰 성장을 염두해 두고 관련 domain까지 구매했었으나 현재 시점에서 보면 판단
착오였다.
[revue와 후면의 이미지]
[revue의 QWERTY KEYBOARD]
[revue의 내부]
DRAM : Nanya DDR3 SDRAM 1Gbit NT5CB128M8CN-CG 8개
NAND (SLC) : Samsung 1GByte K9F8G08U0M
NAND (MLC) : Hynix 4GByte H27UBG8T2ATR
ETHERNET PHY : Realtek RTL8201N
HDMI PHY : Silicon Image Sil9135
MICOM : Microchip PIC24FJ64GA004-I/PT
[revue의 분해]
[참고]
http://www.ifixit.com
http://gtvhacker.com
http://www.tomshardware.com/
'[HARDWARE]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le TV의 분해 - 1st GENERATION (0) | 2012.02.27 |
---|---|
Apple TV의 분해 - 2nd GENERATION (0) | 2012.02.27 |
Google TV의 분해 - SONY (0) | 2012.02.24 |
AUTOCUT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CB 수율을 계산하는 방법 (6) | 2011.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