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에 해당되는 글 31건

  1. 2009.09.26 PCM(펄스 코드 변조)이란 무엇인가?
  2. 2009.09.26 MEDIA 압축 포맷과 MPEG-2 RESOLUTION
  3. 2009.09.26 IGMP snooping 이란 무엇인가?
2009. 9. 26. 16:39

펄스 코드 변조, Pulse Code Modulation이란 무엇인가?

PCM
PAM된 아날로그 신호를 표본화, 양자화, 부호화 과정을 거쳐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
PAM : 펄스 진폭 변조, Pulse Amplitude Modulation, 신호파의 진폭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변조 방식


아날로그 신호를 PCM 방식으로 디지털 변환하여 전송, 복호하는 과정을 살펴보자.


1. 먼저 아날로그 신호파를 이산적인 펄스파로 만드는데 이 때 아날로그신호 최고 주파수의 2
   이상이 되는 주파수로 표본화 한다
.
   Nyquist의 표본화 주파수(fs)라고 하는데 fs = 2fm 이다. 만일 fs < 2fm 이면 파형이 서로 겹치게되어
  
aliasing이 발생한다. (샤논의 표본화정리)
2.
신호파의 크기에 따라 펄스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PAM후 양자화,
부호화를 거쳐 디지탈 신호로
   전송한다
.
3.
양자화는 진폭을 이산적인 신호로 변화하는 과정이며
M= 2n 이다.
   (M:양자화 계단, n:양자화시 사용되는 비트 수)

이 그림은 3bit로 양자화 하여 양자화 계단(M) 8임을 보여준다.
, 점선이 8단계이다.

4.
부호화에서 양자화된 신호를 1 0으로 변환한다
.
5.
전송선로를 거쳐서 복호기는 수신된 펄스파를 PAM파로 복원한다
.
6.
맨 뒷단의 LPF를 통하여 적분을 수행하고 이에 PAM파에서부터
원 신호를 뽑아내게 된다.

PCM PM(Pulse Modulation)의 일종으로 각종 누화, 잡음에 강하여 저질의 전송로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고급 여파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 하지만 점유 주파수 대역폭이 넓다는 단점이 있다
.
 
PCM의 전송량을 줄여 전송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DM, DPCM, ADM, ADPCM 방식이 있다.

'[정보통신] > 통신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선교환, 메시지교환, 패킷교환  (0) 2009.09.26
PSK와 QAM에 대한 설명  (0) 2009.09.26
ASK와 FSK의 특징에 대한 설명  (0) 2009.09.26
PCM의 종류  (0) 2009.09.26
Posted by nooriry
2009. 9. 26. 15:40

[MULTIMEDIA COMPRESSION FORMAT]


[MPEG-2 RESOLUTION]


[출처]
http://en.wikipedia.org 

'[정보통신] > 영상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날로그 방송 vs 디지털 방송  (0) 2009.10.22
DVB-T  (0) 2009.10.21
Posted by nooriry
2009. 9. 26. 13:41

통신 회사들이나 기타 프로젝트에 있어서 요구사항에 자주 등장하는 문구인 IGMP snooping이란
무엇인가
?

IGMP snooping
에 대해서 살펴보기 전에 먼저 IGMP가 무엇인지 알고 넘어가자.

IGMP
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의 약자로 Internet Protocol multicast group들의
membership을 관리하는 통신 규약이다.

, multicast를 관리 하는것이다.

- IGMP
IP host들과 multicast router들에 의해 사용된다.
-
송수신 규약은 아니라도 network layer 상위에서 동작하는
IP multicast spec의 필수 구성요소이다.
- Unicast connection
에 있어서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해당한다.
- Streaming video
game등에 사용되며 보다 효율적인 리소스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 IGMP
는 몇 몇 공격을 받을 수도 있으며 방화벽에 의해 차단 될 수도 있다.

위 그림에서 IGMP가 사용되는 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까지 IGMP가 무엇인지 알아 보았으니 이제 IGMP snooping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한마디로 switch host router간의 대화내용을 듣는 것이다.

그 결과 switch multicast traffic 필요로 하는 client에게만 전달할 것이다.

-
이 대화 내용은 mutlicast network에 보내진 IGMP packet들이며 구성은 Layer3 packet들로 되어져 있다.
- Switch
안에서 IGMP snooping enable되면 host switch 혹은 multicast router간의 IGMP packet
   분석한다.
-
주어진 multicast group에 대하여 IGMP report를 받을 땐 multicast grouphost port 번호를 더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IGMP가 나가면(leave) hostport를 제거한다.
- Mutlicast
를 이해 못하는 switch broadcast multicast traffic LAN상의 모든 포트에 뿌리지만
  
IGMP snooping을 이용하는 switch는 해당 traffic관심있어 하는 client에게만 전달 할 것이다.
-
상기와 같은 multicast traffic의 감소는 switch에게서 packet processing줄여주어 메모리 가격을
   줄여 줄 수 있으며
host에게 있어서는 network card나 운영체제가 네트웍상에 발생되는 모든
  
multicast traffic에 대하여 filter역할을 해 주므로 workload를 줄여줄 수 있다.

[
참고]
WIKIPEDIA

'[정보통신] > 근거리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MP란?  (0) 2009.10.14
WiMAX 기술  (0) 2009.09.26
VoIP :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의 개념  (0) 2009.09.26
CAT5와 CAT5e의 비교  (0) 2009.09.26
Posted by noori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