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9. 26. 23:40

VoIP란 무엇인가?
VoIP
의 시작은 거미줄처럼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을 통해서 전 세계가 통화를 해보자는 취지였다.
기본 원리는 아날로그 신호인 통화하는 사람의 목소리를 디지털 신호로 바꿔 전세계적 네트워크망인
인터넷을 통해 받을 사람에게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곳에서는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바꿔 줌으로써
서로 통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VoIP의 서비스 유형

- PC PC

   말하는 사람의 PC 프로그램에서 마이크를 통해 들어온 음성 신호를 디지털화하고 이를 압축
   (64K 5.3K, 6.3K, 8K로 압축-G729방식)하여
H.323등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패킷화된 음성을
   패킷 단위로 보내고
수신측의 PC에서 복원하는 방식, 초창기 VoIP

- PC 대 전화

   PC에 해당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인터넷 접속 후 특정지역에 설치된 Internent Phone Gateway라는
   장비를 통해서 전화망을 통해 전화기에
벨이 울리고 통화하는 방식

- 전화 대 전화

   전화번호만 누르면 서비스 제공업체의 서버(Internet Phone Gateway)에서 기존의 인터넷
   전화 프로그램의 역할을 대신 해 주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매우 편리


VoIP 서비스 구성도


- 게이트웨이 : 아날로그 음성 교환기의 신호를 인터넷망에 적합한 패킷으로 변환처리를 하는 부분으로
                      진보된 압축 알고리즘을 활용한
음성/영상신호 압축 및 에코 소거와 같은 임무도
                      수행한다
.
- 게이트키퍼
: 서비스 제공자의 망에서 특히 중요한 IP 전화 게이트키퍼는 게이트웨이 구성에서
                      지적 관리 제어를 위해 쓰이는데
, 호 라우팅, 최소 비용 라우팅, 호의 부하 균형, 과금,
                     
사용자 인증과 허가, 보안 기능을 수행한다.
                     
각 단체마다 명칭이 다르다. H.323(Gate Keeper), MGCP(Call Agent), Megaco(MGC),
                      
소프트스위치포럼(소프트스위치)

VoIP의 방향

- 기존의 패킷망에 VoIP 서비스를 하려면 사업자가 Gateway를 해당 지역에 모두 깔아야 했으며 이는
   수익성이 미지수인 시스템에서
 사업자에게 큰 부담이었음.

- 현재는 KT에서 게이트웨이를 미리 깔아놓고 임대하는 방식으로 진행중이며 근래에 들어서 LG 070등이
   활발히 운영되고 있음
.

- 아직까지 패킷 네트워크에서 음성 서비스에 대한 품질 보장 및 signaling범용적이지 못한 단점이
   존재함
. (음성은 실시간이며 패킷망은 패킷이 모두 차야만 전달되는 비 실시간 데이터라는 갭)

- 하지만 망의 고도화 및 신호처리, 기존의 지능망 서비스와의 통합등이 이루어지면 서비스 용도에 따라
   (웹폰, IP 콜센터, 다자간회의 등) 서비스가 활황을 뛸것으로 예상됨

'[정보통신] > 근거리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MP란?  (0) 2009.10.14
WiMAX 기술  (0) 2009.09.26
IGMP snooping 이란 무엇인가?  (0) 2009.09.26
CAT5와 CAT5e의 비교  (0) 2009.09.26
Posted by nooriry
2009. 9. 26. 23:22

 한국 표준화 단체
-
한국 정보 통신 기술 협회
  (TTA : Telecommunication Technologe Association)
-
기술 표준원
  (ATS :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TTA]
-
국내의 통신 사업자, 산업체, 하계, 연구기관등의 상호 협력과 유대를 강화
-
국내외 정보 통신분야의 최신 기술 및 표준에 관한 각종 정보를 수집,
조사, 연구하여 이를 보급,
   활
용하게 하며 정보 통신관련 표준화에 관한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함
-
정보통신 산업 및 기술 진흥과 국민 경제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함
-
http://www.tta.or.kr

[ATS]
- 1883
년 전환국 소속 분석 시험소로 설립
- 1999
년 산업자원부 소속 기술 표준원으로 됨
-
국내의 산업 표준의 집행 기관으로서 산업 표준을 제정
-
한국 산업규격(KS) 표시 허가제도를 운영
- IEC, ISO
등 국제 표준화 단체의 활동에 참여하여 국제 표준의 제정에
우리나라의 의견을 반영하고
   국제 표준화 관련 자료와 정보를 국내 업계에
보급
-
http://www.ats.go.kr

 

 국제 표준화 단체
-
국제 전기 통신 연합
  (ITU :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국제 전기 표준 회의
  (IEC :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
국제 표준화 기구
  (ISO : International Oraganization fo Standardization)
-
인터넷 아키텍저 위원회
  (IAB : Internet Architecture Board)

-
미국 표준화 단체
  (ANSI : 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
미국 전기 전자 학회
  (IEEE :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
미국 전자 공업 협회
  (EIA : Electronics Industrial Association)

[ITU]

- 1865
년 파리에서 국제 전신 연합이라는 이름으로 설립
- UN
의 전문 기관의 하나로서 모든 형태의 통신에 대해 RF 스펙트럼을
구제하고 표준안 제정
- 1992
년에 CCITT ITU-T CCIR ITU-R로 구성됨
-
http://www.itu.org

[IEC]
- 1904
년 미국에서 개최된 국제 전기 총회에서 정부 대표자 회의의 결의에 따라 설립된 조직
-
표준화에 관한 제반 문제와 전기 및 전자기술 관련 분야에 대한 국가간의
이해와 협력을 촉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음
-
여기서 제정된 국제 규격의 형식은 각 나라가 채택하기를 바라는 권고
사항이며, 강제 사항이 아님
- 1980
년도 이후에는 IEC ISO의 업무 중복으로 서로 연합하여 연합 기술
위원회를 구성.
- IEC
ISO는 국제적인 표준화를 추진하고있는 대표적인 민간 단체임

-
http://www.iec.ch

[ISO]
- 1947
년 창설되어 무역의 확대, 품질의 개선, 생산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전세계의 합의에 의한 국제
   규격의 규정을 수행하는 기관

-
우리나라는 1963년 정회원으로 가입
-
공업제품의 볼트, 너트의 규격에서부터 통신의 프로토콜, 품질인증까지
다양한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 전기기술 표준의 모든 사항에 대해
IEC와 협력
-
http://www.iso.ch

[IAB]
-
인터넷의 기술적 진화에 대한 인터넷 사회의 감독 단체
- IETF : TCP/IP
의 발전을 감독
- IRTF :
네트워크 기술에 대해 작업
- IANA : IP
주소 할당을 담당
- IR : DNS
를 관리
-
http://www.iab.org

[ANSI]
-
비영리, 비정부 조직의 단체로 미국내의 자치적 표준안을 설계하는 표준 단체
- ISO
의 회원, 암호화 시스템뿐만 아니라 ISO의 데이터 통신 표준 개발에도
활발하게 참여
-
http://www.ansi.org

[IEEE]
-
전세계에 지부를 두고있는 매우 유명한 전문적인 협회로서 표준화 활동에 오랬동안 참여
- LAN
분야에서의활동은 매우 주목받음
-
대표적인 표준안으로는 CSMA/CD, 토큰버스, 토큰링 등의 프로토콜이 있음
-
http://www.ieee.org

[EIA]
- 1942
년에 설립된 전자업체의 연합으로 표준 개발에 오랬동안 참여해 온 상업적 단체
-
물리 매체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표주안을 권고 표준안
(RS : Recommendation Standard)이라는
   이름으로 제정

-
직렬 통신장치 사이의 연결을 위하여 사용되는 RS-232C에 대한 표준은
EIA의 대표적인 업적
-
http://www.eia.org 

'[정보통신]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트]SDN  (0) 2013.04.25
Posted by nooriry
2009. 9. 26. 23:14

일반적으로 물리적인 전송 선로를 통하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유선 통신은 '전용 회선'을 이용하는
방식과
'교환 회선'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전용 회선을 이용하는 방식은 송신측과 수신측간의 데이터 전송이 아주 빈번한 경우에 많이 사용된다.
경제적 비용이 큰 반면에 데이터의 전송속도가 빠르다.

교환 회선을 이용하는 방식은 여러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경우에 이용된다.
저렴한 비용이지만 데이터의 전송속도는 느리다.

교환 회선에 사용되는 방식엔 회선교환방식, 메시지교환방식, 패킷교환방식이 있다.

[
회선 교환 방식]
-
통신을 행하는 두 스테이션간에 통신을 할 수 있는 경로가 미리 설정되어야 한다.
-
회선설정->데이터 전송-> 회선 해제의 순서를 갖는다.
-
전송지연이 거의 없으므로 고속이다.
-
고정된 대역폭을 사용한다.
-
수신측이 준비되어 있지 않으면 전송이 불가능하여 부재중 통신방식은 불가능하다.
-
교환기는 경로설정외의 기능이 없으므로 코드변환, 속도변환, 프로토콜변환이 불가능하여
   부가서비스가 불가능하다
.

[
메시지 교환 방식]
-
통신을 원하는 두 스테이션간에 경로가 미리 설정되지 않는 방식.
-
한 스테이션에서 전송되는 메시지에는 목적지 주소를 부가하여 전송되며 중계 노드에서는 모든
   메시지를 받아 버퍼 속에 저장하였다가 다음 노드로
전송한다.
-
메시지의 길이는 일정하지 않다.
-
저렴한 비용으로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하다.
-
호출자와 피호출자가 동시에 운영상태에 있지 않아도 된다.
-
코드변환, 속도변환, 우선 순위 지정이 가능여 부가서비스가 가능하다.
-
하나의 통신 회선에 여러 메시지 공유가 가능하여 선로의 이용 효율이 높다.
-
교환기에서 축적후 전송하므로 지연시간이 길다.
- TCP/IP

[
패킷 교환 방식]
-
전송할 메시지를 패킷이라 부르는 일정한 길이의 패킷으로 만들어 패킷 교환기에 전송하면 패킷
   교환기는 패킷에 있는 목적지 주소를 보고 경로를
선택한다.
-
각 교환기들은 다음 교환기가 정확히 수신할 때까지 기억장치에 일시 저장하는 방식이다.
   (
비연결형 통신)
-
인터넷상의 대부분의 트래픽이 패킷교환 방식이다.
-
일정한 크기의 패킷단위로 전송되므로 메시지교환 방식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
-
코드변환, 속도변환, 프로토콜 변환이 가능하다.
- ATM
-
가상회선 방식과 데이터그램 방식이 있다.
 
가상회선 방식
    
두 지점 사이에 논리적인 회선(Virtual Circuit)을 미리 설정하는 방식.
   
가상회선이 설정된 뒤에는 패킷에 송수신지의 주소를 넣지 않으므로 고속이다.
    
전송 순서대로 수신측에 쌓이므로 순서정렬이 필요 없다.
   
많은양의 데이터, 장거리 전송에 적합하다.
 
데이터그램 방식
   
매 패킷마다 주소를 넣어 패킷을 구성한다.
   
매 패킷마다 망의 상태에 따라 전송되는 경로가 다르므로 수신지에서 패킷들은 재정렬되어야 한다.
   
적은 양의 데이터를 짧은 시간에 보낼 때, 근거리통신에 적합하다.

'[정보통신] > 통신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의 계층 구조와 각각의 기능  (0) 2009.10.10
PSK와 QAM에 대한 설명  (0) 2009.09.26
ASK와 FSK의 특징에 대한 설명  (0) 2009.09.26
PCM의 종류  (0) 2009.09.26
Posted by noori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