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9. 26. 12:28

QoS란 무엇인가?

QoS의 범위는 너무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의미이므로 단말(ex. STB)에서의 QoS의 의미만 짚어본다.

QoS : Quality of Servece

QoS
의 종류에는 Port base, Protocol base등이 있다.

예를 들어 CPU에 두 개의 Port 연결되어 있는데 동시에 신호가 들어올 경우 CPU는 어떤 신호를
먼저 처리 할 것인가
... 

이것이
단말기 입장에서의 QoS이다.
(단말기 입장에선 전송 속도, 신호의 지연등 QoS관련 세부사항들이 PHY에 의해 결정되므로 QoS는
 PHY의 성능 선에서 제공되어 진다. 그러므로 이러한 factor-전송속도, 지연-는 배제해도 무방.)

CPU
가 우선 순위를 1 Port에 할당 해 놓았다면 1, 2 Port를 통하여 동시에 신호가 들어올 경우
1번 신호들이 우선 처리되는 권한을 가질 것이다.

Protocol base
라면 예를 들어 multicast에 우선 순위를 두면 multicast protocol이 우선권을 갖는다.

PHY에서 이런 기능을 지원한다면 바이어가 'QoS 지원되나요?' 라고 물을 때 당황하지 말고 '네'라고
답하면 되겠다.

Posted by nooriry
2009. 9. 26. 12:24

 < 통신 네트워크나 물리적인 모든것의 네트워킹 방식중 daisy chain과 net topology를 그려보았다>

'[HARDWARE]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RRUPT를 이용한 NEC 리모콘 수신제어  (0) 2009.09.26
도선의 규격 AWG  (0) 2009.09.26
MAC address 구입  (0) 2009.09.26
단말기 입장에서의 QoS란 무엇인가?  (0) 2009.09.26
Posted by nooriry
2009. 9. 26. 01:18

 Ethernet PHY MAC controller등을 이용한 설계에 있어서 PCB layout시의 guide에 대하여 알아본다.
 
아래의 내용은 일반적인 사항이며 실제 설계시에는 각 IC layout guide를 꼭 참고해야 한다.

1.
일반적인 주의 사항
   -
전원과 GND간의 noise level 100mV 이하로 유지한다.
   -
전원과 GND간에 4.7uF~10uF bulk capacitor를 사용한다.
   -
고주파 noise의 감소를 위해 전원과 GND간에 0.1uF de-coupling capacitor를 사용한다.
   - De-coupling capacitor
IC에 가능한 가까이 위치 시킨다.

2.
차동신호부분 주의 사항
   - Transformer
RJ45 잭 사이의 거리는 가능한 짧아야 한다. (최대 1inch를 넘지 않을 것.)
   -
차동 Tx Rx 쌍을 인접하게 배선한다. (10mil width이면 최대 10mil 간격)
   - Width
는 일치시키며 10mil이상을 권장한다.
   - Trace
의 길이는 최대 1inch를 넘지않고 길이는 매칭 한다.
   - Trace
via 허용않으며 trace layer change를 하지 않는다.
   -
송신쌍과 수신쌍은 상호 근접시키지 않는다. 최소한 20mil 이상을 유지하되 GND로 분리하는 것이
      좋다.
   -
직각 route 하지 않는다.
   - 50
Ω 저항으로 impedance를 매칭 시키고 0.1uF capacitorcommon mode noise filter로 사용한다.

3. Clock
부분 주의 사항
   -
고주파 방사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clock line GND trace로 감싼다.
   - Crystal
이나 oscillator IC에 최대한 가까이 배치 시킨다.

4. Power Plane
   - Analog
digital, voltage별로 모두 분리 한다.
   -
전원 line width는 최소 10mil.

5. GND Plane
   - Transformer
1차측(IC) GND 보드의 GND로부터 확장되어야 하며 짤림없는, 일반적으로 말하는
      ''그라운드로 깐다.
   - System GND
chassis GND사이에 gap을 둔다.

이정도 내용이면 ethernet관련 layout은 거의 숙지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HARDWARE] > INTERFA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B 2.0의 Basic 및 설계  (0) 2009.09.28
시리얼 ATA 규격의 고속 스토리지 설계  (0) 2009.09.26
데이터 버스 버퍼링  (0) 2009.09.25
Posted by nooriry